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etag
- Kotlin
- 알게뭐냐
- 지뢰찾기
- 랜선아미안해
- 지수반등
- kotliln
- cache-control
- cross parameter
- jsr303
- 클래스레벨밸리데이션
- Spring
- 개미수열
- 이렇게살아야되나자괴감이
- brotli
- 워드프레스
- HTTP
- 브로틀리
- 스프링
- 알고리즘
- 리얼월드HTTP
- jsr380
- 코드스피츠
- i18n
- LastModified
- Today
- Total
취미개발 블로그와 마음수양
먼저 아이디를 만들어서 다같이 접속 할 수 있도록 만들어놓아야 한다~ 주소 링크 http://jmnote.com/wiki/MySQL%EC%97%90_%EC%9B%90%EA%B2%A9_%EC%A0%91%EC%86%8D_%ED%97%88%EC%9A%A9 my.cnf 에서 주석처리도 하나 해줘야된다.. 자기만 접속하게 해주는거 127.0.0.1 로 되있는거 주석처리(보면 앎) 아마존 서버를 사용하면 해당 포트도 열어놔야한다.
자바학원..오늘이 11일차인가.. 오늘 학원에서는 쓰레드 맛만 봤다..음.. 뭐..자바의 정석에 나온 소스에 좀 더 수정을 해서 적자면.. 그러니까 안에 매개변수처리로 한다고 하면 new Thread를 하면서 Runnable 인터페이스가 있는 클래스를 그 안에 넣어주면 되는 듯하다~~ Runnable 로 생성한 것은 변수가 없기 때문에 getName을 호출하려면 Thread.currentThread().getName()해주면 된다고 한다. 그냥의 쓰레드가 바로 getName()하는 것과는 조금 차이가 있다. package 정석12쓰레드; public class ThreadEx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hreadEx1_1 t1=new ThreadEx1..
http://deview.kr/2013/detail.nhn?topicSeq=19 으음.. 이건 왜 공부를 계속계속 하나.. http://nuguri.tistory.com/2
^^ 윈도우 설치하면 grub 날라가는건 당연한거에요. grub는 하드디스크의 mbr이라는 영역에 설치되는데 윈도우는 설치히 mbr 을 클리어 시킵니다. grub는 grub라는 명령으로 실행하는게 아니고.. 부팅시에 자동으로 MBR에 있는 grub 부트로더를 먼저 읽게 되어져 있습니다. MBR이 텅텅 비면 그 다음 활성파티션을 찾게 되는데, 이 윈도우라는 녀석이(얍삽한 빌게이츠) MBR을 클리어 시키고 윈도우즈의 파티션을 활성파티션으로 강제로 만들어 버리죠... 1. 일단 usb로 우분투 부팅을 합니다. (우분투 사용해 보기로 부팅하세요..) 파이어폭스를 눌러서 인터넷이 활성화 되었는지 먼저 확인해보시고.. 터미널을 열어주세요.. $>sudo add-apt-repository ppa:yannubuntu/..
네이버에서 찾았는데..이걸 어디서 구해다 썼는지 기억이 안난다;ㅋ 그냥 써야지;;hashpw 메소드가 암호화고checkpw 가 비밀번호 검사하는 메소드이다 ~ import mvjsp.assets.*; public class BCrypt암호화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pass = "hello"; System.out.println("그냥 문자열 : "+pass); String hashPass = BCrypt.hashpw(pass, BCrypt.gensalt(12)); System.out.println("암호화된 String : "+hashPass); String pass2= "hello2"; System.out.println(BCrypt.che..
으음..그냥 뭐 혹시 몰라서 저장.. import java.util.Properties; public class 인코딩종류알기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roperties prop= System.getProperties(); System.out.println(prop.get("sun.jnu.encoding")); } }
출처 : 생활코딩 http://opentutorials.org/course/608/3056 우선 SSH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URL(Public DNS)을 알아야하고,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사용했던 Key가 필요하다. 우선 key의 권한(permission)을 자신만 접근할 수 있게 변경한다. 1chmod 400 opentutorials_key.pem 아래의 명령은 발급 받은 opentutorials_key.pem 파일을 이용해서 'ec2-54-248-186-49.ap-northeast-1.compute.amazonaws.com'에 위치하는 컴퓨터에 ubuntu 사용자의 계정으로 접속한다는 의미다. 우리가 설치한 ubuntu 인스턴스는 기본 유저가 ubuntu이기 때문에 ubuntu를 사용한 것이고..
음..버퍼리더쯤이야 뭐 알고있는데 .. 신기한 것은 String 클래스의 indexOf 메소드.였다. package 정석14입출력;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File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public class BufferedReaderEx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ry{ FileReader fr = new FileReader("123.txt");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fr); String line = ""; for(int i=1;(line=br.readLine())!=null;i++){ //;를 포함한 ..
이거때문에 몇시간 고생했노.. 우분투 환경인지라..ㅡ.ㅡ;; JMF가 이상하게 BIN 파일이 실행도 안되는것같고.. 구글링의 연속..결국 네이버에 아주 간단한 소스로 해결.. ㅋㅋ http://blog.naver.com/oephm/100167768470 소스 ============= package sound; import java.io.FileInputStream; import javazoom.jl.player.Player; public class MP3PlayerDemo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ry { FileInputStream fis = new FileInputStream("1.mp3"); Player playMp3 = new Player(fi..